¹ÌÅ©·ÎƽÀÌ ¸®´ª½º º£À̽º´Ùº¸´Ï ¸®´ª½º º»µùÀÇ ºê·Îµåij½ºÆà ¸ðµå°¡ µË´Ï´Ù. ³ª¶û ¹«½¼ »ó°üÀε¥? ¼³¸íµå¸³´Ï´ô.

   Á¶È¸ 5157   Ãßõ 1    

네트워크 이중화 3중화 방식이 여러가지 입니다.

일단 장비 이중화는 둘째치고 회선 이중화 방식으로 가장 많이 쓰는게 lacp 죠

일명 링크 어그리게이션.802.3ad 등등으로 부릅니다.

이런 이중화는 일단 1기가 회선 두개 쓰면 2기가가 되거나 한개는 액티브 한개는 백업 이런식이 됩니다.

그런데 이건 스위치가 지원해야 합니다. 


리눅스컴-케이블 두줄-스위치- 케이블 두줄-스위치-케이블 두줄- 리눅스컴 

뭐 이런식으로 구성해서 스위치들과 컴들에서 전부 설정을 해줘야 합니다.

근데 더미스위치만 있고..트래픽을 분산하고 싶다면balance-tlb 나 balance-alb 를 씁니다. 

문제는 제가 원하는건 1기가 속도만 나와도 되니 절대 끊기면 안되는 경우 입니다. 이때 브로드캐스팅 모드를 씁니다. 더미스위치라 지원안해도 리눅스 컴에서 설정해도 됩니다. 하지만 미크로틱이 리눅스컴이나 마찬가지라 이런게 됩니다.

동영상 파일서버나 카메라에서 오는 화면을 노트북에서보는데 절대 끊기면 안되는 그런 경우죠..

스위치 죽는건 제외하고 일단 회선을 다중화 할수 있습니다.  

그래서 위의 그림처럼 포트 1~5 중에서 2,3,4 를 스위치 끼리 브로드캐스팅 모드로 본딩하고, 5번과 본딩인터페이스를 브릿지 했습니다. 레이어2 모드죠.

뭐 스위치 둘다 아이피 설정도 필요없습니다. 그냥  오늘쪽 스위치 5번에 연결된 랜에서 스위치 건너서 노트북에 아이피를 DHCP로 받아오게 됩니다.

위 그림처럼 본딩은 2,3,4번(노랑색) 브로드캐스트모드(분홍색)로 세팅했습니다.

그리고 브릿지로 본딩 인터테이스와 5번을 묶었습니다.(하늘색)

그게 답니다. 

결과적으로 위와같이.. 세가닥을 통해 동일한 패킷이 전송되다보니 케이블 한개, 두개 빼버려도 안끊기고.. 전송이 됩니다.

이런 경우에 쓸라고 함 테스트 해봤습니다.

¼ÛÁÖȯ 2023-06
ÀÌ·¸°Ô º»µùÀ» Çϸé Packet duplicate°¡ ¹ß»ýÇÒ °Í °°Àºµ¥, ÀΟÆäÀ̽º¿¡¼­ Àß Ã³¸®ÇØÁÖ³ª¿ä?
     
¾ÆÁÖ Àß Ã³¸®ÇØÁشٴÉ
µàÇ÷¹ÄÉÀ̼ÇÀÌ ÀÖ´õ¶óµµ Àåºñ¿¡¼± ¾Ë¾Æ¼­ ó¸®ÇÏ°í ¼ö½Å´ÜÀÇ ÄÄÀº ±×³É ó¸®µÈ ÇÑ ½ºÆ®¸²¸¸ »ç¿ë
¿ì¾Æ¾Ó2 2023-06
¿À¿ì ½Å±âÇϳ׿ä. ¹ÌÅ©·Îƽ Á¦Ç°Çϳª Áý¿¡ ³õ°í ½Í³×¿ä.


Á¦¸ñPage 8/103
2021-12   2893   ¾ðÁ¨°¡´Â
2021-05   2896   HDuplex
2020-07   2899   ¸Æ½Ã¸Ø
2021-09   2905   »ç´Ù¶ó¾Æ¹Ù
2021-11   2906   »õ·Î¿îÂ÷¿ø
2021-07   2908   CBNW
2020-07   2914   ¼¾Ä¡
2022-03   2915   ´Ðname
2023-11   2916   Rainwalk
2021-10   2916   ¿À¡¾î12
2022-01   2916   HyoSung
2021-01   2928   CAT5E
2023-08   2928   Ŭ·¡½Ä
2021-11   2938   È£¿ÀÇØ
2021-08   2940   Whitesun
2020-08   2941   ÀüÁø
2022-02   2942   RuBisCO
2021-09   2943   Çâ³Ñ
03-29   2946   dpp0548
03-30   2946   °í±â²ßÀ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