ÀÏ´Ü ÇØ°áÇß½À´Ï´Ù.

   Á¶È¸ 1205   Ãßõ 0    

일단 헤놀로지 vmxnet3가 바보인 상태이기 때문에

esxi 호스트에서 Net.Vmxnet3SwLRO 설정을 0으로 바꾸어 LRO를 비활성화하는 것은 도움이 안 되고 omnios 성능만 떨어뜨려서

헤놀 쪽에서 LRO를 끄는게 아니라 그냥 주는 쪽에서 대형 버퍼로 조립하지 않고 패킷을 보내는 쪽으로 해결했습니다. 

즉 vm-tools가 없는 헤놀은 MTU 9000이 넘는 패킷을 인지하지 못하고 로스하기 때문에 주는쪽 LSO를 끄면 됩니다.

윈도우 서버에서 받는건 문제가 안되기에 RSC(LRO)는 그대로 두셔도 되고 헤놀 쪽이 받는게 문제이기 때문에 윈도우 서버에서 LSO를 끄면 됩니다.

대신 가상 서버끼리의 통신의 이점은 잃게 됩니다.



그럼 이제야 제대로 된 속도가 나오는 걸 볼 수 있습니다.






ªÀº±Û Àϼö·Ï ½ÅÁßÇÏ°Ô.
°¨ÀÚ 2022-06
Á¤º¸ °øÀ¯ °¨»çµå¸³´Ï´Ù
11qkr 2022-08
Á¤º¸ °¨»ç ÇÕ´Ï´Ù


NAS
Á¦¸ñPage 160/304
2014-05   4587926   Á¤ÀºÁØ1
2015-12   1136504   ¹é¸Þ°¡
2018-04   3321   ±èÁ¤±ÔB
2018-05   3795   GXIID
2019-03   2300   Á¦·Î62
2019-09   3862   vviners
2020-12   2638   Å´¾ß¸Å
2021-03   3500   È­Á¤Å¥»ï
2022-02   1255   ¾ßŸȣÇٲܹã
2022-10   1650   NASchobo
2023-11   722   ÀÓ½ÃÇö
2013-08   19281   joon
2014-08   6378   °Å´Ï³×
2015-05   35298   Àü¼³¼ÓÀǹ̡¦
2017-05   3125   ¾ç½Ã¿­
2018-01   3668   ¹Ì¿ìÁö½Ã¾ð
2018-09   3369   sHo0
2019-01   2571   Ä«Ä«µÎ
2019-04   4245   ÀÌ°èÀÎ
2020-01   1941   °­ÇÁ·Î
2020-03   7790   À²À̺üºü
2020-06   2363   ¾Æ¶ó¾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