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R1009 ½Ã¸®Áî Â÷ÀÌÁ¡ ¹®ÀÇ

´À³¦   
   Á¶È¸ 3448   Ãßõ 0    

CCR시리즈 중 가장 엔트리 기종인 CCR1009 시리즈는 8G는 단종시키고 7G로 대체 한듯 합니다.

CCR1009-8G 시리즈
CCR1009-8G-1S-1S +

홈페이지 설명 : RAM 2GB, 기가비트 이더넷 포트 8 개 (Ether1-4는 스위치 그룹에 있음)

CCR1009-7G 시리즈
CCR1009-7G-1C-1S +

홈페이지 설명 : 스위치 칩이 없음 -이 장치는 CPU에 직접 연결되는 완전히 독립적 인 이더넷 포트 만 제공하므로 스위치 칩 포트에서 이전에 공유 한 1Gbit 제한을 극복하고 이러한 포트에서 CPU 처리 능력의 모든 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두개중에 차이나는게 8G시리즈는 스위치가 있고, 7G시리즈는 스위치가 없다는거내요
실제로 강좌에 이진님이 올리신 예제대로 7G시리즈에 적용 할려니 WINBOX에 마스트,슬레이브 적용하는곳이 없습니다.

여기서 귀동냥으로 들은게 스위치로 그룹 어쩌구 하면 스위치칩이 처리하고, 브리지로 쓰면 CPU가 직접 처리 해서 성능이 떨어진다는
건데요. 미크로틱 설명서에는 스위치칩이 없어서 좋다는 말이 있내요. 이게 무슨 뜻일까요???

그리고 미크로틱 홈페이지에 이더넷 테스트에 보면, 브릿징 모드와 라우트 모드가 있던데요
여기서 브릿징모드와 라우트 모드란게 어떤걸 말하는건가요??

제가 이해한건 ether2~ether5 이걸 브릿지로 묶어서 사용하는걸 브릿징 모드 같은데요... 

ªÀº±Û Àϼö·Ï ½ÅÁßÇÏ°Ô.
¹Ú¹®Çü 2017-03
CCR ¿¡ µé¾î°¡´Â Ĩ¿¡¼­ ½ºÀ­Ä¡ ĨÀ» °ÅÄ¡Áö ¾Ê°í ´ÙÀÌ·¢µå·Î ·£Æ÷Æ®¿Í ¿¬°áµÇ¾ú´Ù´Â °ÍÀ» ÀǹÌÇÏ´Â µí ÇÕ´Ï´Ù. ºí·°´ÙÀ̾î±×·¥À» ªO¾Æº¸¼¼¿ä.
Á¤Èñ¼· 2017-03
7g ¸ðµ¨Àº ¹«Á¶°Ç ºê¸®Áö·Î ¾²¸é µÇ°í CPU ¼º´É»ó ¹®Á¦ µÉ°Ô ¾ø½À´Ï´Ù. ÇÏÀ§ ¶óÀξ÷ÀÇ Àú·ÅÇÑ CPU¿¡¼­ ¹®Á¦ »ý±â´Â°Å°í¿ä.
¿ø·¡ ¼ÒÇÁÆ®¿þ¾î ºê¸´Áö ¾²´Â°Ô ±â´É»ó ÁÁÀº°Ô ¸Â±ä ÇÕ´Ï´Ù.


QnA
Á¦¸ñPage 4861/5611
2014-05   4584044   Á¤ÀºÁØ1
2015-12   1132647   ¹é¸Þ°¡
2016-09   5202   °ÇÀüÁö
2021-07   1961   Sakura24
2009-04   5261   ±èÀç½Ä
2015-09   3189   °Ü¿ï³ª¹«
2020-03   2731   ±èµ¿ÀÚ¸Ç
2020-03   3140   ´Ù¿Â
2016-09   3784   ÁöºñÁöºñÁ¤±Û
2014-05   8125   VSPress
2015-10   4378   ¸·ÆÇ´ëÀå
2017-10   4683   SOGm
2014-06   4809   ¸¶½Ã½º
2009-05   7613   ·¹Àκ¸¿ì7
2020-03   3402   ±èÁØÀ¯
2023-03   1254   ¹Ì´ã
2015-10   3264   FreeBSD
2023-03   1635   ´Ù¿Â
2014-06   3784   Å©¶ó¿ìÀú
2020-04   2231   ±×¸ðµµ
2012-09   5078   ·Î±×¾Æ¿ô
2015-10   5233   topschool